안녕하세요 오늘은 대만환율에 대해 이야기해볼까합니다.
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의심하면서
고의적으로 자국통화를 낮춰 부당한 이익을 취한다고 고발했는데요.
사실, 한 전문가에 따르면 트럼프가 틀렸다고 합니다.
실제 환율조작국으로 의심되는 나라가 중국이나 일본이 아닌
대만과 같이 아시아국가에 많다는건데요.
사실 우리나라도 그위기에 휩싸인적이 있습니다.
환율조작국?
말그대로 환율을 실제값이 아닌 다른값으로 조정을 한다는건데요.
미국이 미국과의 무역에서 대규모 흑자를 내는 나라를 대상으로
환율조작국을 지정할 권한을 부여했지만
환율조작국을 지정하지 않아 미국의회가 나서서 지정하자는 법안을 낸건데요.
미국이 한국을 환율관찰대상국으로 지정한 근거는
아래 지정한 3가지중에 모두 해당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다른 의심국가인 대만도 2가지가 해당 된다고 합니다.
조건사항으로는,
1.대미 흑자 규모가 200억달러를 초과하는 국가
2.특정 국가의 경상수지 흑자규모가 GDP대비 3%를 초과하는 국가
3.환율 조작을 하기 위해 매입한 외환자산의 순매수액이
GDP대비 2%를 초과하는 국가
이렇게 3가지가 있습니다.
한국?대만? 모두 환율조작국 지정 그 이후?
한국과 대만이 모두 첫 사례로 함께 지정이 됬었는데요.
한국의 경우 1988~1990년까지 총 3차례 지목되었지만
한국은 정부 고시 환율제도를 '시장평균환율'제도로 바꾸면서
환율 조작국에서 벗어났습니다.
하지만, 대만의 경우 1992년 이후에 두차례 더 리스트에 오르며
총 4차례나 지정이 되었고 벗어나고자 하는 어떤 방법은 안보이는것 같습니다.
미국에서는 미중문제로 대만보다는
중국에 화살을 가하고 있어 큰 관심은 안보이고는 있습니다.
하지만 환율조작국에 지정되는게 계속된다면
장기적으로 통화가치가 떨어지고 이로인해 대규모 자본 유출 또는
증시 폭락등이 발생해 경제에 타격이 올 수있다고 합니다.
대만 환율?
대만은 대만달러를 사용하고
표기는 TWD로 대만의 달러를 의미합니다.
2020년 2월 23일 기준 1TWD는 얼마일까요?
1TWD(달러) = 39.80원
사실 지금 환율이 많이 오르고 있습니다.
현재도 전일대비 0.38% 증가했음을 보이는데요.
3개월동안의 환율그래프로 더 자세히 볼까요?
대만의 환율은 작년 12월 20일경에 최저점으로 38.47원
그리고 지금은 39.80원으로
1원정도의 환율이 올랐습니다.
사실 대만 환율이 안정적인 편이라
오르는 폭이 심하진 않지만 그래도 현재는 많이 오른 편인데요.
1년동안의 환율로 그 이유를 볼까요?
보시다싶이 작년 2월에는 최저점이 36원대로
지금과는 약 3원의 차이를 보이고있습니다.
거의 평균 환율이 37원대정도는 되었는데
지금은 39원 후반으로 곧 40원을 넘을것만 같네요..
대만 환율이 조금 올라서 여행으로는 살짝 곤란해지겠습니다.
그치만 물가가 저렴한 편이라고는 하지만
이전 환율 대비 많이 올랐네요..
물론, 대만이 장기적인 환율조작국으로 지정이 되고
실제로 경제적인 타격으로 오게 된다면
그땐 다시 내려갈 수도 있을것으로 보입니다.
현재는 우리나라 원화 가치가 하락한 이유도 있어서
당분간은 더 오를 수도 있을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대만 환율에 대해 이야기했습니다.
'환율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달러 환율 전망 환 테크 방법 (0) | 2020.03.07 |
---|---|
터키 리라 환율, 터키 금리 낮춘 이유, 터키 경제 (0) | 2020.02.27 |
원달러 환율 상승 이유 (0) | 2020.02.25 |
호주 환율 전망 (0) | 2020.02.24 |
브라질 환율 점점 낮아지는 이유 (0) | 2020.02.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