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시세 전망, 금 투자 방법
loading
본문 바로가기
환율글

금시세 전망, 금 투자 방법

by 환율왕 2020. 6. 3.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금시세 전망을 알아볼까합니다.

현재 시점 기준의 금시세입니다.

한국금거래소의 기준이며

1돈(3.75g)당의 기준으로 보시면 됩니다.

 

자료에 따르면 지금의 금시세는 

하락세로 볼 수가 있습니다.

매매기준율로 보아서

1g당 금시세는 68,480.92원입니다.

 

현재 전일대비 0.04%가 하락했습니다.

최근의 금 시세 동향은

몇 주전에는 금 1g당 67486.95원 대로 최저점을 찍었으나

69085.37원까지 최고점으로 올랐습니다.

이런 동태로 보아서

앞으로의 금시세가 하향세가 끝나면

다시 상향세로 갈 수 있는 가능성이 있습니다.

 

 

하지만 단순히 금이 안전자산이라는 이유로

단기적인 투자를 했다가는 큰 리스크가 올 수 있는것이

금투자입니다.

 

금 투자를 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첫번째실물인 골드바를 사는 방법으로

가장 직관적인 방법이며 매매차익에 세금이 붙지 않습니다.

하지만 부가가치세 10%가 복병입니다.

따라서 시세가 매입가 보다 10% 이상이 올라야

본전인 구조로 그 차익을 보는게 쉽지 않습니다.

두번째는 은행에서 금통장(골드뱅킹)을 발급 받는겁니다.

계좌에 돈을 넣어두면 해당일 금 시세와 환율에 따라서

예금액만큼 금을 적립하는 방식입니다.

찾을때는 금실물이나 현금으로 받을 수 있고

스마트폰으로도 쉽게 거래가 가능해서 편리합니다.

그렇지만 매매차익에 15.4%의 이자배당소득세가 붙습니다.

 

세번째는 금을 주요자산으로 하는 펀드나

국제 금시세를 따르는 ETF를 금융상품을 활용하는겁니다.

하지만 이또한 소득세와 선취수수료가 따로 별도로

부담이 되어야 하며

금값이 상승할땐 몇배의 이익을 보지만

하락기엔 반대로 몇배의 손해가 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한국거래소 금시장 거래가 있습니다.

증권사에서 금 실물 계좌를 개설하고

주식처럼 KRX 시세에 따라 금을 사고 팔 수 있습니다.

이는 매매금액의 0.3% 내외로 수수료를 내고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에도 제외가 되는 장점이 있으나 

실물 인출시엔 부가가치세 10%가 발생합니다.

 

 

여러 금투자에 대해서 장단점이 모두 있습니다.

그리고 금투자시 전체 투자 자산의

10~20%선이 적당합니다.

 

하지만 금투자로 성공을 하려면

충분한 지식이 있어야 하며

단기적인 목적으로만 보아서는

되려 손해만 볼 수 있다는점을 참고하셔야합니다.

 

게다가 대외적인 상황도 무시할 수 없습니다.

미 중 무역 분쟁이 있을때도

금값은 20%나 올랐습니다.

그런 대외 불안요건도 파악을 해야합니다.

현재, 홍콩 보안법으로 또 미국과 중국의 갈등이

심화되고 있어 앞으로의 금시세에 영향이 있을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금시세 전망 그리고 투자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

댓글